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1. 아는기자, 정치부 이현재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이 기자, 주말 지나면 영수회담인데, 어떤 의제들이 테이블에 오르겠습니까? <br><br>어제 3차 실무회동에서 의제에 제한을 두지 않기로 했죠. <br> <br>대통령실과 민주당, 각각 주말 동안 어떤 의제를 갖고 회담장에 들어갈지 작전회의를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 취재를 해보니 "민생이 최우선"이라며 "의제 목록을 압축하고 있다"고 하더라고요.<br> <br>어제 채널A가 민주당이 2차 실무회동에서 '16+@' 의제를 제안했다고 보도해드렸는데요. <br> <br>민주당도 이 중에서 핵심의제 몇 가지를 추려내고 있습니다.<br> <br>Q2. 아무래도 '전 국민 25만 원 지원금'이 가장 관심 의제인데, 양측 입장이 좀 좁혀졌습니까? <br><br>아직까지는 평행선을 달리는 듯합니다. <br> <br>민주당이 반드시 관철 시키겠다고 벼르고 있는 만큼 논의 테이블에는 올라갈 것으로 보이지만, 양측의 생각이 다르거든요.<br> <br>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"민생 경기가 바닥이니 지원금 액수를 조정해서라도 꼭 해야 한다"는 입장인데요. <br> <br>이에 대해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에게 물어봤더니 "그건 민주당이 생각하는 민생"이라고 딱 잘라 말하더라고요.<br> <br>윤 대통령이 총선 패배 직후에도 "포퓰리즘은 마약"이라고 단호하게 선을 그은 만큼 '25만 원 지원금'에 대한 양측의 충돌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 <br> <br>Q3. 앞서 리포트에서 전해드렸지만,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독대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리는데, 민주당은 '독대할 필요가 있겠느냐'는 입장이에요? <br><br>대통령실 쪽도 민주당 쪽도 독대에 대해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분위기입니다. <br><br>앞서 보신 것처럼 오히려 민주당 쪽에선 1대 1 대화 가능성을 묻자 "밀실대화는 필요 없다"는 말까지 나왔죠. <br> <br>속내를 들여다 보면 윤 대통령에 대한 불신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독대 중 나온 대화를 행여 한쪽이 왜곡해서 전달하면 어떡하나, 이런 우려를 할 수도 있죠.<br> <br>한편으론 이재명 대표의 '격'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도 읽힙니다. <br> <br>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"이번 영수회담은 국민과의 대화"라며 "그간 대통령이 일방적 연설과 훈시를 했다면 이번엔 달라야 한다"고 말했는데요.<br> <br>공개된 장소에서 나란히 앉아 대화해야 이 대표가 '국민의 대표'로서 대통령을 만났다는 이미지를 강조할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아무래도 비서실장에 정무라인, 공보라인 등 배석자를 3명씩 낀 4대 4회담인 만큼, 속을 터놓는 격의 없는 대화가 오가기는 어렵겠죠.<br> <br>Q4. 대통령실은 어떻게 하겠대요? <br> <br>대통령실 측은 특별한 입장을 정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대통령과 이 대표 마음대로 결정하면 된다는 거죠. <br> <br>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"상황에 따라 두 사람이 자연스럽게 배석자들을 내보낼 수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Q5. 의전 문제도 궁금한데요. 두 사람이 처음 만나는 만큼 대통령이 집무실도 소개하고 대통령실 구석구석 안내하고, 그런 모습도 연출될까요? <br><br>의전은 상당히 예민한 문제죠. <br> <br>대통령실 측은 "이전 영수회담 수준을 지키면서도 최대한 자연스럽게 하겠다"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통상 외빈을 맞이하는 대통령실 내부 접견실에서 회담이 진행될 걸로 보이고요. <br> <br>1시간 정도의 짧은 회담인 만큼 대통령실 곳곳을 소개한다거나 하는 사전 일정 없이, 곧바로 회담으로 돌입한다는 게 대통령실 측의 설명입니다. <br> <br>Q6. 회담 후 공동 합의문 등도 나옵니까? <br><br>이번에는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 <br> <br>보통 실무 협상에서 의제 협의를 다 해 놔야 회담장에서 도장 찍거나 사인을 하며 공동 합의문을 작성하는 등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는데요.<br> 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회담 후에야 작성할 수 있는데 작성하는 동안 두 분에게 기다리라고 할 수 없어서 물리적으로 시간이 없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. <br><br>연출 : 성희영 PD<br /><br /><br />이현재 기자 guswo1321@ichannela.com